윈도우에서는 OS이미지 파일(ISO 파일)을 부팅(Booting) USB를 만드는 과정을 흔하게 찾아볼 수 있다. 나의 경우엔 Windows OS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윈도우에서 사용되는 Rufus 같은 유틸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다. 오래되서 사용하지 않는 Laptop에 Linux를 설치해야 할 일이 생겨서 Linux 설치용 USB를 Mac OS에서 만들어 보려고 한다. 꼭 Linux 를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동일한 방법으로 윈도우 ISO 파일을 부팅 가능한 USB로 만드는 과정도 OS Image File만 다를 뿐 동일한 과정이니 참고하기 바란다. 먼저 생성할 Linux ISO 파일을 다운로드 하자. 나는 Rocky Linux의 최신 버전인 9. 4 Version을..
Unix / Linux 에서 가장 기본적인 편집기인 vi의 나이는 내 나이보다더 많다. 기본적으로 Unix / Linux에 탑재된 텍스트 에디터이지만 vi 자체만으로는 살짝 아쉬운 부분이 있다. 그래서 나온게 vi 기능을 개선한 vim 이다. 기본 vi 에 여러가지 기능을 추가해서 개선된 제품이기에 가능하면 vim을 사용하는게 더 편하다. 추가로 vim이 vi 에 추가기능을 더해서 만든 것이라면 vim-enhanced는 vim의 패키지 중 하나로 더 많은 추가기능을 더한 편집기이다. 간단하게 차이점을 확인해 보자.vi - 역사 : 1976년 Bill Joy가 Unix 개발을 위해서 개발한 Text Editor 이다. - 기능 : 아주 기본적인 텍스트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 - ..
Server Consol을 접속하면 보통 ssh를 사용하게 된다. iTerm 이나 Putty 에서 매크로로 설정해서 암호를 자동 입력할 수 도 있지만 말 그대로 매크로다보니 잘 안되는 경우도 있고 로그를 출력하는 중에 갑자기 매크로 트리거가 작동해서 오작동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애초에 접속에서만 비밀번호를 자동입력하게끔 하면 되는 것인데 그 기능을 도와 주는게 sshpass 다. OSX(MacOS)나 Unix에서 설치해서 사용가능 하다. 나는 OSX 사용자니까.. brew를 통해서 설치방법과 iTerm 에 접속시 사용하는 방법을 기록하고자 한다. ** brew 가 설치 되어 있다는 전재이니 brew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brew 설치를 먼저 한다. brew search sshpass brew sea..
brew (HomeBrew)를 이용해서 Maven을 설치해보자. brew install maven 특별한 에러가 없었다면 설치가 정상적으로 되었을 것이다. 그래도 확인은 해야하니... mvn -version 어디에 서치가 되었는지도 함께 확인해 준다. which mvn 그런데 실제 경로가 아니다 심볼릭 링크 경로이다. 해당 결로로 찾아 들어가보면 아래와 같이 심볼릭 링크가 설정되어 있다. 환경변수에 등록을 하자. 나의 경우엔 ZSH 를 사용하므로 home dir의 .zshrc 에서 추가할 것이다. vi .zshrc export M2_HOME=/opt/homebrew/Cellar/maven/3.8.6/libexec export M2=$M2_HOME/bin export PATH=$PATH:$M2_HOME/b..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