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x / Linux / OSX 등의 Unix 계열의 OS에서 파일의 내용을 표기할 때 사용하는 방법 중 가장 심플한 명령어가 아마도 cat 일 것이다. 하지만 단색 Text로 보여지니 가독성도 떨어지고 효율성도 좋지 않다. vi도 syntax highlight를 지원하는데 cat은 그럴 마음이 없는 듯 하다. 말 장난 같지만... "고양이 대신 박쥐" 바로 bat을 cat 대신 사용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쓸 수 있다. https://github.com/sharkdp/bat GitHub - sharkdp/bat: A cat(1) clone with wings.A cat(1) clone with wings. Contribute to sharkdp/bat development by creati..
mysql -u root -p#root 비밀번호 입력-- 사용자 생성CREATE USER 'iamwhatiam'@'%' IDENTIFIED BY 'abc1234';-- 관리자 권한 부여GRANT ALL PRIVILEGES ON *.* TO 'iamwhatiam'@'%' WITH GRANT OPTION;-- 권한 테이블 다시 로드FLUSH PRIVILEGES; Synology NAS VMM에 Rocky Linux 8을 설치하고 Oracle19c, PostgreSQL 을 설치해 봤다. (현재 시점 Oracle19c 설치 과정은 아직 포스팅 하지 않았다.) MS-SQL은 Windows가 없어서 설치 못하더라도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MariaDB까지는 설치해 놓고 사용해 보려고 한다. 내가 MySQ..
개인적으로 대규모 Project를 주로 하다보니 Oracle, MS-SQL 이외에 흔히 사용되는 DB는 MariaDB(MySQL) 정도였다. 최근 PostgreSQL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주변에서 PostgreSQL에 대한 니즈가 생기는 것을 듣게 되어 최근 RDBMS의 Ranking을 확인해 보니 PostgreSQL가 무려 4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PostgreSQL는 개인적으로 Greenplum(현재 45위... 이제는 아는 사람도 없을 DB)을 접하게 되었을 때 접한 DB 였는데 그때가 벌써 2010년쯤이니 10년도 더 된 이야기다. 어쨌든 다시 PostgreSQL을 사용해봐야 할지도 몰라서 개발용으로 Rocky Linux에 PostgreSQL을 설치해보려고 한다. PostgreS..
오랫동안 Linux 에서 디렉토리의 내용을 확인하는 명령어로 사용된 ls 는 심심하기 그지 없다. 뭔가 컬러풀하지도 않고 시인성도 떨어진다. 파일의 종류에 따라 구분해주는 것도 시인성이 떨어진다. 그래서 그 대안으로 나온 것이 lsd 이다. exa라는 대안도 있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lsd 에 대해서만 다루겠다. 일단 lsd 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해당 git 에서 확인할 수 있다.https://github.com/lsd-rs/lsd GitHub - lsd-rs/lsd: The next gen ls commandThe next gen ls command. Contribute to lsd-rs/lsd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